한국문화의 특성 18

VIII. 형식주의(1): 혈연기반 형식주의

이 글을 쓰는 변: 한국문화의 특성에 관하여 시리즈의 글을 쓰고자 한다. 여기서는 여덟째(VIII)의 글로서 집단주의는 실질보다는 형식을 중시하는 경향인 형식주의, 그 중에서도 호칭, 특히 가족관계 호칭과 그 폐단에 대해 쓴다. (이 시리즈의 글은 주제를 위해 시간과 공간에서 다소 거리가 있는 것들이 하나의 가상 공간 및(또는) 시간으로 융합될 수도 있다. 이하 동일) VIII. 형식주의(1): 혈연기반 형식주의 지원: 오늘은 집단주의의 한 특성은 형식주의인 이유와 그 형식주의에 대해 설명해주신다고 하셨어요, 교수: 그랬었지. 그럼 시작해볼까? 지원: 네.교수: 형식(formality)의 반대개념은 실질(substance)이라네. 형식주의(formalism)는 어떤 것이 물리적이든 비물적이든 외형적 모습..

IV. 집단주의와 개인주의의 개념 및 집단과 구성원간의 관계

이 글을 쓰는 변 : 한국문화의 특성에 관하여 시리즈의 글을 쓰고자 한다. 여기서는 넷째(IV) 글로서 집단주의와 개인주의의 개념과 집단과 구성원간의 관계에 대해 쓴다. (이 시리즈의 글은 주제를 위해 시간과 공간에서 다소 거리가 있는 것들이 하나의 가상 공간 및(또는) 시간으로 융합될 수도 있다. 이하 동일.) IV. 집단주의와 개인주의의 개념 및 집단과 구성원간의 관계 이튿날 지원은 10시 5분 전에 내 연구실로 왔다. 우리는 녹차를 한 잔 나누며, 날씨랑 이런저런 일상 이야기를 조금 나누고 어제의 이야기를 이어갔다. 지원: 교수님, 어제는 문화의 정의를 말씀하시고 또한 집단을 형성하는 것이 인간의 본능 때문인지 아니면 문화 때문인지를 이야기하셨어요. 그 결론은 내리시지 않으셨지만 그 논의를 통해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