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고전(논어, 도덕경 등) 3

음양오행설의 비판

음양오행설의 비판 (1) 음양오행설이란? 1) 음양설의 개요음양오행설은 음양설과 오행설이 독자적으로 개발되었다가 전국시대의 추연이란 사람에 의하여 합쳐진 이론이다. 음양설이란 우주만물의 모든 것들이 음(陰)과 양(陽)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이론이다. 예컨대, 명암, 고저, 남녀 등에서 보면, 밝음이 양이고 어둠이 음이고, 높은 곳은 양이고 낮은 곳은 음이며 남자는 양이고 여자는 음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글을 쓰는 내가 양(음)이면 내 평생 반려자인 그 반대는 음(양)이 되어 그와 나는 음양의 쌍이다. 나아가 여기의 반려자가 아니라 우주 어딘가에는 나와 음양이 다른 나(반나, 영어로 anti-me라고 하자)의 짝이 있는 것인가? 그런 반나가 있다면 어서 그를 만나보고 싶다. 이 글을 읽는 당신에게..

노자의 도덕경 비판

노자의 도덕경 비판 (1) 들어가며 1) 노자의 말을 기록한 도덕경(道德經)에 대한 해설서를 읽거나 강의를 들어보면, 하나 같이 고사(古事: 옛날에 발생한 일)가 어떻고 자구(字句: 단어와 구)가 저떻고 한다. 즉, 옛일과 노자가 한 말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위주로 도덕경을 해석하는 수준을 넘지 못한다. 이런 자구 해석과 고사를 설명하는 수준과 방법의 연구로는 동양철학은 그냥 그 테두리 안에 머물고 만다. 노장사상도 유학사상도 동양철학은 그 수준이다. 동양철학 모든 영역의 수준이 이런 것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그래서 그런지 동양철학은 말만 풍성하고 자연현상과 사회현상을 인식하고 설명하는 데 별반 기여하지 못 한다. 2) 나는 여기서 지금까지의 동양철학학자들이 하는 강의내용과는 아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