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의 특성 18

XVIII. 한의학: 총체적 사고의 동양의학

이 글을 쓰는 변: 한국문화의 특성에 관하여 시리즈의 글을 쓰고자 한다. 여기서는 18번째(VVI)이다. 이글은 집단주의의 사고방식인 총체적 사고에서 발생한 우리의 학의학의 모습을 알아본다. 여기서의 의견은 내 개인 의견이므로 그대로 믿을 필요는 없고 각자 자기의 성찰에 따르기를 바란다. (이 시리즈의 글은 주제를 위해 시간과 공간에서 다소 거리가 있는 것들이 하나의 가상 공간 및(또는) 시간으로 융합될 수도 있다. 이하 동일) XVIII. 한의학: 총체적 사고의 동양의학 지원: 어제는 우리나라와 같은 집단주의 문화를 가진 곳에서는 미신이 심한 이유를 말씀 하셨어요. 오늘은 한의학에 대한 말씀을 듣고 싶어요. 이것이 집단주의의 사고인 총체적 사고에 뿌리를 둔다고 말씀하신 적이 있어요. 교수: 그랬었지. ..

XVII. 미신의 나라 대한민국: 풍수지리설, 무속(점), 관상, 사이비종교가 판치는 나라

이 글을 쓰는 변: 한국문화의 특성에 관하여 시리즈의 글을 쓰고자 한다. 여기서는 17번째(VVI)이다. 이것은 집단주의의 사고방식인 총체적 사고에서 발견되는 현상 중 하나인 미신이나 사이비가 많다는 점에 대해 집중적으로 쓴다. 여기서의 의견은 내 개인 의견이므로 그대로 믿을 필요는 없고 각자 자기의 성찰에 따르기를 바란다. (이 시리즈의 글은 주제를 위해 시간과 공간에서 다소 거리가 있는 것들이 하나의 가상 공간 및(또는) 시간으로 융합될 수도 있다. 이하 동일)XVII. 미신의 나라 대한민국: 풍수지리설, 무속(점), 관상, 사이비종교가 판치는 나라 어느 날 내가 지원의 전화를 받고 미아리에 있는 어떤 카페에 갔다. 지원이 ..

XVI. 총체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이 글을 쓰는 변: 이 글은 한국문화의 특성에 관하여 시리즈의 글 중 16번째(VVI) 글이다. 이것과 이 다음 몇 개의 글에서는 집단주의의 사고방식인 총체적 사고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룬다. XVI. 총체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지원: 교수님, 이제까지 총제척 사고와 분석적 사고을 몇 번 언급하셨어요. 오늘은 이 두 개념에 대해 집중적으로 듣고 싶어요. 교수: 그래보자. 그 시작으로 내가 질문을 해보겠다. 책 이름을 잘 기억하지는 못하지만 내가 어떤 책에서 읽은 내용에 관한 것이란다. 지원: 네, 어떤 질문인데요? 교수: 여기에 토끼, 개와 당근이 있다고 하자. 이 셋 중 다른 둘과 유관성이 가장 적은 것을 분류해낸다면, 어느 것이라 생각하는가? 지원: 글쎄요…. 어찌 보면 동물과 식물의 차이라는 점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