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신 2

XVI. 총체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이 글을 쓰는 변: 이 글은 한국문화의 특성에 관하여 시리즈의 글 중 16번째(VVI) 글이다. 이것과 이 다음 몇 개의 글에서는 집단주의의 사고방식인 총체적 사고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룬다. XVI. 총체적 사고와 분석적 사고 지원: 교수님, 이제까지 총제척 사고와 분석적 사고을 몇 번 언급하셨어요. 오늘은 이 두 개념에 대해 집중적으로 듣고 싶어요. 교수: 그래보자. 그 시작으로 내가 질문을 해보겠다. 책 이름을 잘 기억하지는 못하지만 내가 어떤 책에서 읽은 내용에 관한 것이란다. 지원: 네, 어떤 질문인데요? 교수: 여기에 토끼, 개와 당근이 있다고 하자. 이 셋 중 다른 둘과 유관성이 가장 적은 것을 분류해낸다면, 어느 것이라 생각하는가? 지원: 글쎄요…. 어찌 보면 동물과 식물의 차이라는 점에서 ..

음양오행설의 비판

음양오행설의 비판 (1) 음양오행설이란? 1) 음양설의 개요음양오행설은 음양설과 오행설이 독자적으로 개발되었다가 전국시대의 추연이란 사람에 의하여 합쳐진 이론이다. 음양설이란 우주만물의 모든 것들이 음(陰)과 양(陽)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이론이다. 예컨대, 명암, 고저, 남녀 등에서 보면, 밝음이 양이고 어둠이 음이고, 높은 곳은 양이고 낮은 곳은 음이며 남자는 양이고 여자는 음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 글을 쓰는 내가 양(음)이면 내 평생 반려자인 그 반대는 음(양)이 되어 그와 나는 음양의 쌍이다. 나아가 여기의 반려자가 아니라 우주 어딘가에는 나와 음양이 다른 나(반나, 영어로 anti-me라고 하자)의 짝이 있는 것인가? 그런 반나가 있다면 어서 그를 만나보고 싶다. 이 글을 읽는 당신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