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준 3

XVIII. 한의학: 총체적 사고의 동양의학

이 글을 쓰는 변: 한국문화의 특성에 관하여 시리즈의 글을 쓰고자 한다. 여기서는 18번째(VVI)이다. 이글은 집단주의의 사고방식인 총체적 사고에서 발생한 우리의 학의학의 모습을 알아본다. 여기서의 의견은 내 개인 의견이므로 그대로 믿을 필요는 없고 각자 자기의 성찰에 따르기를 바란다. (이 시리즈의 글은 주제를 위해 시간과 공간에서 다소 거리가 있는 것들이 하나의 가상 공간 및(또는) 시간으로 융합될 수도 있다. 이하 동일) XVIII. 한의학: 총체적 사고의 동양의학 지원: 어제는 우리나라와 같은 집단주의 문화를 가진 곳에서는 미신이 심한 이유를 말씀 하셨어요. 오늘은 한의학에 대한 말씀을 듣고 싶어요. 이것이 집단주의의 사고인 총체적 사고에 뿌리를 둔다고 말씀하신 적이 있어요. 교수: 그랬었지. ..

노자의 도덕경 비판

노자의 도덕경 비판 (1) 들어가며 1) 노자의 말을 기록한 도덕경(道德經)에 대한 해설서를 읽거나 강의를 들어보면, 하나 같이 고사(古事: 옛날에 발생한 일)가 어떻고 자구(字句: 단어와 구)가 저떻고 한다. 즉, 옛일과 노자가 한 말의 의미가 무엇인가를 위주로 도덕경을 해석하는 수준을 넘지 못한다. 이런 자구 해석과 고사를 설명하는 수준과 방법의 연구로는 동양철학은 그냥 그 테두리 안에 머물고 만다. 노장사상도 유학사상도 동양철학은 그 수준이다. 동양철학 모든 영역의 수준이 이런 것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 그래서 그런지 동양철학은 말만 풍성하고 자연현상과 사회현상을 인식하고 설명하는 데 별반 기여하지 못 한다. 2) 나는 여기서 지금까지의 동양철학학자들이 하는 강의내용과는 아주 ..